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5년 기초생활수급자-생계급여의 조건, 금액, 신청 방법까지 한눈에 정리! 놓치지 말고 확인해보세요.

by 콩넷맘 2025. 4. 10.

"혹시 나도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을까?" 물가는 오르고 생활은 빠듯한데, 정부에서 주는 생계급여 소식을 들어도 정확한 기준이 무엇인지 몰라 망설였던 분 많으시죠?

2025년 기준중위소득과 생계급여 선정 기준이 바뀌었습니다. 오늘은 그 기준을 쉽고 정확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해당된다면 꼭 신청하셔서 도움 받아보세요!

 

2025-생계급여-정리-썸네일입니다.
썸네일

 

목록
1.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란?
2. 2025년 생계급여 지원 대상
3. 지원 내용
4. 신청 방법
5. 추가로 받을 수 있는 혜택

 

 

 

1.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란?

기초생활수급제도 중 "생계급여"는 최저 생계를 유지하기 어려운 가구에 매달 현금으로 지원금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주로 소득과 재산을 합한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32% 이하인 가구가 대상이에요.

 

 

2. 2025년 생계급여 지원 대상

2025년에는 기준 중위소득의 32% 이하인 가구가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보건복지부가 매년 발표하며, 올해는 작년보다 6.42% 인상되었답니다.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 생계급여 선정 기준 (32%)
1인 가구 2,392,013원 765,444원 이하
2인 가구 3,932,658원 1,258,451원 이하
3인 가구 5,025,353원 1,608,113원 이하
4인 가구 6,097,773원 1,951,287원 이하
5인 가구 7,108,192원 2,274,621원 이하
6인 가구 8,064,805원 2,580,738원 이하

 

7인 이상은 1인당 923,623원씩 기준 중위소득에 추가된다는 점! 알아두시면 좋겠습니다~

 

 

3. 지원 내용

3-1. 지원 금액

생계급여는 '보충형 급여'라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기준보다 부족한 만큼만 지원받을 수 있어요.

 

☞ 지급 공식 ☜

생계급여 = 기준 금액 - 소득인정액

 

예를 들어,
2인 가구의 경우에는 가구의 기준이 1,258,451원이잖아요?
그런데 만약 소득인정액이 700,000원이라면...
1,258,451원 - 700,000원 = 558,451원
생계급여 지원금은 약 558,450원이 되겠네요.

 

정확한 것은 아니고 지역, 주거 형태, 부양의무자 여부 등에 따라 일부 조정될 수 있으니 참고로만 봐주세요~

 

 

 

3-2. 소득인정액

그렇다면 소득인정액은 무엇일까요?

소득인정액은 단순히 월 소득만 말하는 것이 아니더라고요. 월 소득에 재산을 환산한 금액까지 합산한 금액을 말해요.

 

이번에도 예를 들어본다면...
월 소득이 60만 원인 사람을 가정해 볼게요.
이 사람의 예금, 자동차, 부채 등 재산을 환산했더니 재산 환산액이 50만 원이래요.
그렇다면 소득인정액은 60만 + 50만 = 110만 원이 되는 거예요.

 

이 소득인정액이 위의 표에 있는 생계급여 기준 이하여야 수급받을 수 있는 거랍니다.

 

이렇게 해도 소득인정액을 계산하고 확인하는 게 어렵지 않으신가요? 전 어렵더라고요. 그래서 알아봤습니다~!

모의계산할 수 있는 방법이 있더라고요.

궁금하신 분은 모의계산으로 확인해 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복지로-사이트-생계급여-모의계산-페이지-바로가기-링크버튼

 

 

 

4. 신청 방법

4-1. 신청 장소

주소지의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직접 신청할 수도 있고, 복지로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 신청도 가능합니다.

 

복지로-생계급여-신청-페이지-바로가기-링크-버튼

 

 

4-2. 신청 시기

기초생활수급은 상시 접수받고 있으니 언제라도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4-3. 필요 서류

  • 신분증
  • 가족관계증명서
  • 재산/소득 증빙서류 -예금, 급여명세서, 임대차계약서 등
  • 건강보험 납부내역서 등

최근에는 전산 상으로 필요 서류가 조회되는 경우가 많아서 일일이 준비하지 않아도 될 때가 종종 있어요. 신청하시기 전에 해당 주민센터에 문의 먼저 해보시길 권합니다.

 

 

 

5. 추가로 받을 수 있는 혜택

 

여기서 잠깐!!

생계급여만 받는 게 끝이 아니에요!

  • 전기요금, 통신비, TV 수신료 등 감면
  • 주민세 면제
  • 문화누리카드 (연 13만 원 문화비 지원)
  • 교육·의료·주거급여 연계 지원

반드시 함께 확인해서 놓치지 마세요~


마무리

2025년엔 기준이 올라가면서 더 많은 가구가 생계급여 대상이 될 수 있는 해예요.

"내가 받을 수 있을까?" 고민만 하지 마시고, 복지로에서 모의계산 한 번 해보시는 것도 추천드려요. 많은 도움이 되더라고요.

주변에 해당되시는 분이 있다면 꼭 알려주시는 것도 잊지 마시고요~ 몰라서 못 받는 건 너무 아깝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