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아이와 함께 하는 요리 놀이 시간, 장점과 요리활동 팁

by 콩넷맘 2024. 6. 11.

아이와 함께 요리를 하면 어떤 장점이 있을까요? 그리고 요리 활동을 재미있게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오늘은 아이와 함께 요리를 하면 좋은 점과 즐거운 요리 시간이 될 수 있게 하는 팁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요리 놀이 계획도 세우고 즐거운 시간 보내시길 바라요.

아이와-함께하는-요리의-장점과-요리활동-팁-섬네일
섬네일

 

아이들은 엄마, 아빠와 함께 요리를 하면 정말 좋아합니다. 저희 아이들도 무척 기대하고 즐거워하는 활동 중의 하나죠. 그래서 자주 한답니다. 재미있기도 하고 높은 성취감을 느낄 수도 있으니까요. 그리고 엄마, 아빠와 함께 하면서 유대감도 쌓을 수 있고요. 그 외에도 많은 장점과 긍정적인 효과들이 있습니다.

 

 

< 아이와 함께 하는 요리의 장점 >

① 정서 발달

요리는 아이들에게 하나의 놀이가 됩니다. 그러니 일단은 매우 재미있어하고 즐거워해요. 그리고 스트레스를 푸는 수단이 되기도 하고요. 그렇다 보니 긍정적인 정서를 발달시킬 수가 있어요.
더구나 아이들이 하는 요리는 실패라는 것이 없어요. 거창한 요리도 아니고 맛은 아이들이 좌우하는 것이 아니니까요. 만드는 과정에서 모양이 생각대로 안 만들어지거나 이상하게 되어 '실패'라고 느껴지더라도 완성된 결과물은 나오게 되어있어요. 그리고 맛있게 먹을 수 있지요. 그러니 "이상해도 괜찮아", "모양은 이래도 맛있어"하면서 '실패'를 극복할 수 있는 힘, 부정적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힘이 길러집니다.

 

② 애착 형성

가족들과 무언가를 한다는 것 자체가 유대감을 만들고 애착을 키워가는 과정입니다. 함께 기분 좋은 시간을 보내고 힘을 모아서 무언가를 이루어내는 경험은 아이들에게 가족들과의 끈끈한 감정을 이어갈 수 있는 시간이 됩니다.

특히 요리는 함께 음식을 만들어내고, 다 같이 만든 것을 맛있게 먹어요. 이렇게 행복한 결과까지 생기니 더욱 좋은 영향을 주겠지요?

저희 아이들은 맛있는 음식을 먹으면 "음~ 행복해~"라고 말하곤 한답니다.

 

③ 사회성 발달

음식을 만들면서 차례를 기다려야 하고, 다른 사람과 협력해서 만들어요. 그리고 무엇을 만들지, 어떻게 만들지 의논하면서 상대방의 의견을 듣고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기도 합니다. 서로서로 조금씩 양보도 해야 하고요. 이런 모든 과정이 사회성을 기르는 기초가 됩니다.

 

④ 오감 발달

요리를 하는 동안 다양한 재료의 형태와 색을 보고, 재료가 변해가는 과정을 관찰하면서 시각이 발달합니다.
그리고 음식을 만드는 것은 다양한 느낌의 재료를 손으로 만지고, 잡고, 주물러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촉각 발달에도 큰 영향을 줍니다.
재료 본연의 냄새와 맛, 완성된 음식의 냄새를 맡고 맛을 보면서 후각과 미각도 발달하고요.
요리를 하는 동안 끓는 소리, 칼질하는 소리, 굽는 소리 등을 들으면서 청각을 자극하기도 하지요.

 

 

 

⑤ 창의력 발달

요리는 창의력을 자연스럽게 기를 수 있는 매우 좋은 활동입니다.

여러 재료를 다루면서 이건 이렇게 하면 어떻게 변할까? 상상해보기도 하고, 자신의 생각대로 여러 가지 모양을 만들어보기도 합니다.

 

저희는 지난 주말에 호떡을 만들었는데 아이들이 만두모양 호떡, 하트모양 호떡, 세모모양 호떡 등 여러 모양으로 빚어냈어요. 물론 다 터지기는 했지만요. 그런데 그것도 터진 모양대로 어떤 형태가 되어서 즐거움을 주었답니다.

 

⑥ 인지능력 발달

요리 재료들은 색과 모양이 모두 제각각이지요. 그리고 자르는 대로 다양한 모양이 나오기도 하고요. 이를 통해서 인지 능력이 길러집니다.

과일과 야채의 차이점과 어떻게 자라는지 식물의 한살이에 대해서도 이야깃거리가 되고, 고기를 준비하며 동물의 한살이에 대해서도 이야기 나눌 수 있어요. 예전에 막내는 돼지, 닭들을 우리가 잡아먹는다는 사실에 충격을 살짝 받기도 했지만요. "그래도 맛있는 거니까 어쩔 수 없지"하면서 금방 털어버리긴 했답니다.

그리고 가열을 하면 재료들이 어떻게 변하는지도 관찰하여 과정과 결과를 알아볼 수도 있고, 야채를 소금에 절이면서 삼투압의 원리, 물을 끓이면서 끓는점과 열의 전도와 복사와 같은 열의 이동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어요. 뿐만 아니라 물을 끓이면 수증기로 기화가 되는 것을 보면서 고체(얼음), 액체(물), 기체(수증기)의 관계도 쉽게 이해하게 되고요. 이렇게 요리 과정에서 여러 과학적 원리를 자연스럽게 체험할 수 있습니다.

 

호떡을 만들면서는 이스트를 넣은 반죽을 숙성시키니 부풀어 오른 것에 대해서 알아보기도 했었죠. 아이들이 정말 신기해하고 호기심을 많이 보였던 현상 중의 하나였어요.

 

⑦ 소근육 발달

음식을 만들면 도구를 사용하게 되죠. 이런 여러 종류의 도구들을 사용하고 다루면서 세심한 작업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다양한 질감과 단단한 정도를 가진 재료를 손으로 만지고 주무르고 하면서 소근육이 발달되고 두 손 협응과 눈 손 협응 능력이 발달합니다.

 

 

 

< 즐거운 요리 시간이 되기 위한 팁 >

① 아이들과 요리를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입니다. 요리는 불이나 칼을 사용하기도 하고 그릇을 떨어뜨려 위험하기도 해요. 그러니 시작하기 전에 위험과 안전에 대해 먼저 충분히 이야기해야 해요.

칼이나 불 등 위험한 것은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아이가 할 수 있는 것은 어디까지인지 등에 대해 이야기 나눕니다.

 

저희는 첫째는 가스레인지를 사용할 수 있어요. 이제는 키가 훌쩍 커서 팔이 프라이팬에 닿지 않거든요. 하지만 둘째는 아직 팔이 닿아서 안되고요. 막내는 멀찍이 떨어진 곳에서 의자 위에 올라서서 호떡이 구워지는 것을 구경합니다.

 

참고로 칼은 케이크칼을 사용해요. 당근 같이 단단한 것은 잘 안 썰리지만 웬만한 것은 생각보다 잘 잘라져요. 물론 깔끔하게 잘리지는 않지만요.

 

② 어린아이 같은 경우는 먹을 수 있는 것과 먹을 수 없는 것을 구분해 주는 것도 필요해요. 저희 막내도 음식을 만들다가 맛있어 보이거나 맛이 궁금하면 생각 없이 입으로 가져갈 때가 있어요.

생으로 그냥 먹어도 되는 것과 익혀서 먹어야 하는 것을 구분시켜 주세요.

 

③ 요리를 할 때 위험한 것은 엄마, 아빠가 주도해서 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아이들이 주도해요. 모양이 이상해져도 괜찮고, 섞여도 괜찮아요.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해라, 엄마가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생각하고 원하는 대로 선택해서 만들어갈 수 있도록 합니다.

 

④ 아이들 주도로 요리를 하려면 쉽고 간단한 것으로 만들어야겠죠? 자기가 해냈다는 뿌듯함과 자신감, 성취감을 가질 수 있도록요. 어떻게 만들어도 완성된 결과물이 나오는 것이 좋아요.

수제비, 쿠키, 케이크, 주먹밥, 햄버거, 샌드위치, 호떡, 샐러드 등은 아무렇게나 만들어도 어떻게든 완성되는 요리 활동이랍니다.

 

⑤ 작은 것 하나라도 아이들의 성취에 대해 구체적으로 칭찬해 주고 북돋아 주세요. 그리고 엄마의 의도나 계획대로 안된다고 하더라도 요리시간은 아이가 주도하니 야단을 치거나 잔소리를 하지 않아요. 아이를 기다려주는 것도 필요합니다.

 

완성 후 음식에 이름을 붙이는 것도 아이의 성취감을 높이고 즐거움을 주는 한 방법이니 참고해 보세요. 혹여 말도 안 되는 이름을 붙이더라도 괜찮아요. 생각지도 못한 기발한 아이디어를 낸 아이를 칭찬해 주세요.

 

⑥ 정리도 아이와 함께 합니다. 정리까지 마무리하는 것이 놀이의 한 과정이에요. 그러면서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감을 기르고 자기 조절능력이 생깁니다. 많이 어지르면 정리할 때 힘들다는 것을 느끼니 다음에 요리할 때는 조금씩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거든요.

처음에는 서툴고 어설퍼서 엄마가 뒷정리해야 할 게 더 많을 수는 있어요. 하지만 몇 번 겪어보면 점점 능숙하게 정리하고 청소하게 되고 엄마는 혼자 할 때보다 훨씬 더 편해질 거예요.


마치며...

아이와 함께 요리를 하면 어떤 점이 좋을지와 팁에 대해 이야기해 봤습니다. 이런 여러 긍정적인 효과와 장점들이 있어 예전에 미술치료사로 일할 때 치료 현장에서도 한 번씩 했었어요. 요리 활동이 정서나 행동 조절을 위한 치료에 접목했을 때 도움을 준다는 연구 결과도 많답니다.

아이들에게 좋은 영향을 주는 활동이니 주말에 한 번씩 간단한 요리를 하면서 추억거리를 만들어 보시기 바랍니다.